[살며詩 한 편] (83) 간이역 2 / 양점숙

제 마음
놓친 사람이
오고가는 길 끝에
침묵으로
헤매던
밤새
헤매던 길 끝에
백 년도 그렁그렁 잠시,
왔다가 그냥 갑니다
-양점숙, <간이역 2 > 전문-
가을은 뒷모습의 계절이다. 반짝이던 빛들이 스러지고 난 후, 뒤돌아선 모습들이 바스락거리며 스러지는 계절이다. 빛의 무게에 실렸던 존재의 이유들이 그 빛과 함께 사라지고 나면 우리는 가볍고 가벼운 허공이 되어 제 몸의 세포들을 풀어놓을 것이다. 존재의 유와 무가 경계를 허물고 뒤섞이는 혼돈. 그러나 가을을 지나 겨울, 혼돈의 극점은 또 다른 질서의 탄생을 예감해 놓고 있지 않던가.
그럼에도 뒤돌아서는 것들은 쓸쓸하다. 최선을 다했음에도 아무 것도 되지 못한 시간들이 아쉽다. 왔다 간다는 작은 표식마저 남기지 못하고, 더군다나 자신의 가슴에조차 제 존재의 이유를 밝히지 못한 채 돌아서야 하는 마음들이 툭툭 떨어져 내리는 계절이다. 가을에 유독 쓸쓸한 바람이 많은 이유다.
‘제 마음/ 놓친’ 낙엽이 ‘그렁그렁 잠시’머문 길가를 걷는다. ‘밤새’ 어디를 어떻게 ‘헤매던 길 끝에’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는 묻지 않아도 알 것만 같다. 상처 가득한 얼굴이 고단해 보인다. 이대로 ‘그냥 가’야 할까.
화단에 심어져 있던 넝쿨들이 길가에 쌓인 낙엽 위로 손을 내밀고 있다. 다독다독, 말하지 않아도 다 안다는 듯 낙엽을 다독이는 넝쿨의 위로. 그 손길의 따스한 체온을 느끼려는 듯 낙엽들이 넝쿨 가까이 몰려 있다.
가슴에 바람 가득할 때마다 서로의 체온을 그리워하는 건 우리들의 본능. 그리움 깊어질수록 우리의 손은 또 누군가의 따스한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가을은 서로의 체온이 필요한 계절. 바람 가득한 어깨 위에 당신의 따스한 손, 살포시 얹어주었으면 좋겠다.
![]() 김연미 시인은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 출신이다. 『연인』으로 등단했고 시집 『바다 쪽으로 피는 꽃』, 『오래된 것들은 골목이 되어갔다』, 산문집 <비오는 날의 오후>를 펴냈다. 젊은시조문학회, 제주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 오랫동안 하던 일을 그만두고 ‘글만 쓰면서 먹고 살수는 없을까’를 고민하고 있다. <제주의소리>에서 ‘어리숙한 농부의 농사일기’ 연재를 통해 초보 농부의 일상을 감각적으로 풀어낸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