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눈으로 과거를 봐야 한다.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방식을 끄집어 내 현재적 관점과 시각에서 새로운 해법을 찾는 것이 옳을 것이다. 물론 JDC의 과거를 바라보는 관점은 다를 수 있다. 세상의 모든 것을 비춰주는 거울은 결국 자신을 비추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부와 외부, 두 개의 거울이 필요하다.
과거 제주는 지역 내 자본과 자원이 빈약한 상황에서 민간 투자에 많은 부분 의존하는 구조였다. 민간이 필요로 하는 토지를 공공부문이 단지 조성 등을 통해 공급하는 방식이 지지를 받을 수 있었던 근거다. JDC는 도민 합의를 거친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과 시행계획에 의해 핵심 사업들을 추진해 왔다. 조성된 단지 내 개별지구와 사업에 투자를 유치하는 방식을 통해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면서 제주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내부적 시각이다.
하지만 다른 거울로 보자. 몇 년 전부터 관광객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제주이주 열풍에 수반해서 민간 투자가 급증하면서 관광부문에서는 민간이 JDC의 역할을 많이 대체할 수 있게 변했다. 도민 눈높이도 한껏 올라갔다. 급변한 환경에서 기존 사업방식만 고수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됐다. 이런 변화에 지혜롭게 대응하도록 JDC의 방향이 재설정되는데 까지 시간차(time lag)도 발생했다.
그러던 2016년 11월에 JDC를 이끌어 갈 임무를 맡게 됐다.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미래를 위한 창의적 준비가 절실히 필요한 때였다. JDC가 이룬 과거 성과를 뒤로 하고 다음 공을 이루기 위해 새롭게 변화를 만들어야 할 때였다. 지금껏 가보지 않은 길을 가야 했다. 우선, 제주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맞도록 JDC의 비전과 목표를 새로이 정했다. 외부의 평가도 겸허하게 받아들였다. 물리적·외형적 개발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였다.
그에 따라 지난 한 해는 제주의 바람직한 미래, 제주형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해 JDC를 변화시키고 미래 사업을 새롭게 발굴한 중요한 시기였다. 끼니마저 잊고 모든 임직원이 합심해 분발 노력했다. 그 결과 국제화 사업, 업사이클링 클러스터(폐기물 새활용 단지), 제2첨단과기단지, 첨단 농식품단지, 전기자동차 시범단지, 스마트시티 조성 등 제주의 가치를 증진시키고 밝은 미래를 만들어 줄 중요한 사업이 추가로 선정돼 중앙정부로터 승인을 받게 됐다.

올해 초 경영계획 발표를 통해 말씀드렸던 도민과의 약속들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더 점검해 본다. 미흡한 부분들이 아직도 많아 마음이 무겁기도 하다. 하지만 JDC가 추구해 온 긍정의 역사를 정체시키지 않으면서도 과거의 틀을 과감히 탈피해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 모범적 공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마음과 자세를 다 잡아 본다. / 이광희 JDC 이사장
제주의소리
news@jejuso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