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폐쇄적인 울타리 '우리'의 틀을 깨자 폐쇄적인 울타리 '우리'의 틀을 깨자 "우리". 참 정겨운 말이다. 그 속에서는 잘못도 용서 할 수 있고 아량도 베풀 수 있다. 남을 의심하지 아니하며 믿고 서로 의지하면서 살아간다. 조그마한 것도 나누어먹고 기쁨과 슬픔을 같이 하며 마음속의 고민도 털어 놓는다. 어려움이 있을 때는 서로 도우며 자기희생도 마다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우리" 문화는 한반도 백 김한욱 칼럼 | 제주의 소리 | 2011-04-29 08:39 세상을 쥐고 흔드는 '권력과 돈' 세상을 쥐고 흔드는 '권력과 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인류가 출현한 것이 약 120만 년 전으로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수렵생활을 하다 농사 기술이 발달하면서 한곳에 정착하게 되고 생산된 농산물로 부를 축적하거나 축적한 부를 지키기 위한 무사 계급이 등장하면서 왕을 중심으로 한 고대 국가가 탄생하게 된다. 그 후 인류 사회는 권력과 돈이 모든 것을 지배하였다.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 김한욱 칼럼 | 김한욱 | 2011-03-03 17:06 미국·일본·러시아엔 '있고', 제주엔 '없는' 제주역사 미국·일본·러시아엔 '있고', 제주엔 '없는' 제주역사 왕도정치를 이상으로 삼았던 조선시대 정치 문화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가 ‘기록정치’이다. 국가 정책 과정을 철저하게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기록 문화의 극치’를 이룩하였던 것이다. 국가의 기록이라는 것은 정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보증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투명하지 아니하거나 정 김한욱 칼럼 | 김한욱 | 2011-02-17 17:43 선거개입, 이기면 '출세길'...지면 '좌천길' 선거개입, 이기면 '출세길'...지면 '좌천길' 20세기 사상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정신 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개인의 성격이 그 사람의 운명을 좌우 하고 집단이 성격이 국가의 운명을 결정 한다”라고 말했다. 우리가 갖고 있는 제주인의 성격은 무엇일까? 그 중 전승하여야 할 것은 무엇이며, 그리고 버려야 할 것은 무엇인가?전승하여야 할 것으로는 “3무 김한욱 칼럼 | 김한욱 | 2011-02-09 07:49 집단 민원 왜 발생하나? 집단 민원 왜 발생하나? 제주도에서는 오랫동안 행정과 주민 간, 기업과 주민 간, 지역과 지역 간 심지어는 주민 간 갈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과거에 발생한 대표적인 집단 민원은 제주시 탑동 공유수면 매립, 제주도개발특별법 제정, 중산간 지역 골프장 건설, 관광지 개발 사업, 풍력 발전 사업, 양식장 설치, 대형 건축물 건립, 인공위성 발사기지 건설 사례 등을 들 수 있다 김한욱 칼럼 | 김한욱 | 2011-01-30 20:29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