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걷는다는 것은 한권의 인문학 서적을 읽는 재미와 닮았다. 역시 걷기를 좋아하는 것은 그 속도가 느리기 때문일 것이다. 삶의 속도가 너무 빠르니 삶의 속도를 늦추는 걷기야 말로 우리를 치유하고 성찰하게 한다. 유년시절 불가의 출가자로, 환속해 문화재 전문 공직자로, 세 권의 시집을 낸 시인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다시 명상 간경하는 불가의 시자로 돌아가 끊임없는 자기 수행의 길을 걷고 있는 윤봉택 시인이 제주올레 1~26코스를 따라 그 길과 마을에 깃든 흥미로운 제주(탐라) 이야기를 격주로 집필한다. 탐라에서 제주에 이르는 설화
사람의 눈으로 바라보며 걸어서 닿을 수 있는 길이 과연 얼마나 될까. 걷다 보면 닿고, 멈춰 서면 그만큼 거리에 서 있는 신기루 같은 올레가 바로 제주올레 8코스가 아닌가.걸으면 하늘올레가 되어 하늘길이 열리고, 곳바당 기슭에 기대면 바람 한 올 없어도 노를 저어 다가오시어 바당올레로 물살 풀어가시는,“여기는 여기는 제주나돈데, 옛날 옛적 과거지사에, 탐라국으로 이름 높아 삼신산도 안개나 속에, 사시 절 명승지로다. 이 언덕 저 언덕 저 언덕 이 언덕, 한라산이나 명승지로구나.”…. 마디마디 스며 흐르며, 고븐데기마다 굽이지는 구성
제주올레 7-1코스는 신시가지 또는 신서귀포라 부르는 ‘신머들’에서 시작된다. 신머들은 ‘머들’이 많아 불려진 지명이다. 머들은 땅에 박혀 있으나 지상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암반을 의미하고, 노출이 적고 지면 아래에 암반이 있으면 ‘빌레’라고 한다.신머들 남쪽은 ‘써근섬’ 해안으로 지역 일대를 ‘고상머들’이라고 한다. 이처럼 신서귀포에서 부터 써근섬 해안까지는 지반 자체가 머들로 대부분 이뤄져 있어 흥미롭다. 지명을 살펴보면 그 지역의 미래가 보인다. 신머들을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자면 머들은 건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지역은 새로
제주올레여행자센터에서 올레 방향을 물으면 그냥 븽새기 웃는다.걷지 않은 이들은 이렇게 묻는다. ‘어느 올레가 가장 좋은가.’라고, 나는 답한다. ‘지금 그대가 걷게 될 질레가 가장 좋은 올레다.’라고나의 경우, 처음 걷는 올레와 두 번째 걷는 올레, 그리고 세 번째 걷는 올레는 모두가 같은 코스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느낌은 모두 다르다.바람은 그물에 걸리면 흔들리지만, 올레는 언제 순례하여도 본시 여여하여 흔들림이 없다.하여, 분명 같은 올레이지만 걸을 때마다 만남이 특별하다. 이렇듯 특별함이 있기에 느끼는 그 기쁨의 행복은 깊이
‘쇠소깍’ ᄃᆞ리에서 제주올레 6코스를 순례하자니, 육자배기 가락 없이는 내 오늘 해 지것다. “내 정은 청산이요. 님의 정은 녹수로구나. 녹수야 흐르건만, 청산이야 변할소냐.” 헤 ~~~‘쇠소깍 용소’ 바위에 앉으니 바람이요, 일어서니 구름이네. 가세 가세 우리 걷세 닻 올리면 지귀섬이 마중 오는 올레, 노를 저으니 설피 섬에 님의 물결 ᄒᆞᆫ망사리 안아 오시는, 오늘 여덟 번째 제주올레 순례는, 언제나 머정 좋은 좀녜 삼춘이 물질하는 바당밧이 너울지는 제주올레 6코스이다.6코스는 쇠소깍다리에서 제주올레 여행자센터 까지 하효동·보
내 안에 네가 있다면 어떤 모습으로 다가오실까. 혼자서는 자기 얼굴을 볼 수 없기에 우리는 늘 서로 기대어 살아간다. 헌데 어느 때부턴가 마주보기가 아니라 등 돌려 살아가는 게 당연한 것처럼 여기는 허당 삶이 되었다.가족 관계보다 남을 더 소중한 양, 그게 당연한 것처럼 여기는 세태, 자녀들이 결혼하여 각 방 쓴다면 큰일처럼 여기면서도, 정작 본인들의 각방 문화는 당연시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드려야 하나, 헌신짝처럼 모든 것을 다 내려 놓아버린 것처럼 하여도, 늘 한구석에는 공허함으로 치매를 기다리는 군상들, 이처럼 소원했던 관계를
탐라국에는 ‘당 오백 절 오백’이라 하였을 만큼 신당이 많다. 이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자연과 더불어 공존하려는 섬사람의 발로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탐라에는 일만 팔천 신이 있다. 따라서 어느 마을 어느 해변에 닿아도 마을을 지켜주는 본향당과 마을에서 마을을 엮어주는 신당들이 있다.뭍에는 당산 능선에 서낭당을 두어 모시지만, 탐라에는 한라산 자체가 당산 역할을 하기에 마을마다 터를 마련하여 신당을 둔 게 특징이다. 이처럼 마을마다 신당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다양한 삶의 교류가 스며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주올레
왜 올레를 자주 걷느냐고 묻는다. 나는 걷는 게 아니라 올레를 순례한다고 전한다. 그대도 마음에 무거운 게 있거든 한걸음에 하나씩 내려놓으며 순례하라고 권한다. 나에게 있어 올레는 순례 명상의 아란야이다. 일주일래(一週一來), 한주에 한 코스를 순례하며 자연과 함께 소통하는 게 즐겁고 행복하다. 이번 다섯 번째 순례는 제주올레 3-B 코스이다.제주올레 3-B 코스는 2015년 5월 23일 개장되었다. 온평리 ‘동개맛, 터웃개’에서 신산리·삼달리·신풍리·신천리·하천리·표선리 당케 백사장까지 14.6km, 37리이다. 3-A코스 20.
제주올레 3코스는 2008년 9월 27일 온평리 ‘동개맛, 터웃개’에서 9코스로 개장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올레 코스가 재조정되면서 3코스로 명명되었다. 그 후 2015년 5월 23일 3-B 코스가 개장되면서, 3-A 코스로 변경된 가장 ‘지럭시’가 진 올레이다. 구간은 온평리 ’동개맛‘에서 표선리 당케 백사장까지 20.9km, 53리이다.하지만 신풍포구 ‘머럭’에 있는 ‘거린’ Y형 올레에서 3-A·B 코스가 합류되기에 즐기면서 오름과 벌판 목장 그리고 해변을 차례로 순례할 수 있는 멋진 코스이다. 하여 삶이 무척 고단하실 때 순례
제주올레 2코스는 2008년 6월 28일 오전 10시 ‘광치기’해변에서 7코스로 개장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올레 코스가 재조정되면서 2코스로 명명되었다. 구간은 ‘광치기’에서 온평리포구 까지 15.6km로써, 성산읍 고성리·오조리·온평리 세 마을을 지나는데 39리가 넘는다.‘터진목’의 벼락치듯 ‘광치기’가 없었다면, 성산일출봉은 시방도 ‘통밧알’에 잠겨 있을지도 모른다. 한라산 남쪽과 달리 조천에서 성산까지는 해안가 내수면을 안아 설촌 된 마을이 많은데 오조리가 그중 하나다.일찍이 1907년 전후하여 ’통밧알‘ 낮은 곳에 둑을 쌓아
탐라국에는 섬이 많다. 79개의 섬 가운데 유인도가 8개나 된다. 이 중 하나가 제주올레 1-1코스 우도이다. 이처럼 탐라국 동쪽 끝, 섬 속의 섬 우도는 삼백예순날 물 위에 떠 있다. 사료에서 우도는 세종실록 84권 1439년(세종 21) 윤2월 4일 당시 제주 도안무사 한승순 이가 왜선이 정박할 수 있는 위험한 곳과 이에 대한 방어 조건을 보고한 자료에 보면 “정의현 동쪽 우봉(牛峯)과 대정현 서쪽 죽도(竹島)는 왜선이 모르게 정박할 수 있는 곳인바…. 우도(牛島) 인근에 있는 수산(水山)에는 모두 성곽이 없습니다. 만약 왜적이
올레 없는 동네가 어디 있으랴.사람 사는 동네마다 사연 없는 마을 또한 어디 있으랴.제주올레는 탐라국의 전설이다. 문전신과 조왕신을 섬기는 탐라인, 이렇듯 모든 올레는 문전에서 오롯이 일어나 질레와 소통한다. 노일국 노일저대는 동티신, 토조나라 여산부인은 조왕할망, 남명복당 남선비는 문전 하르방, 일곱성제 중에 큰아들은 올레 정주목 대신이 되었다는 문전 본풀이에서 제주올레의 신화는 시작된다.탐라국은 크게 제주목, 대정현·정의현으로 구역을 긋는다. 제주목에서는 또다시 목안·동목안·서목안으로 나눈다. 이렇게 나눠진 것은 환경과 문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