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aim] n. 시간하간일에 다 때가 싯주(모든 일에는 다 때가 있다)고대영어에서의 tima(=time)는 “정해진 일정 시간(=limited space of time)”을 뜻하는 말이었다. 14세기부터 “연속되는 무한정 시간(=time as an indefinite continuous duration)”을 뜻하는 추상적 개념으로도 쓰였는데, 현재는 time이란 말을 여러 가지 분화(differentiation)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례로 ‘Time is money.’에서의 time은 과거·현재·미래로 계속되는 추
special [spéʃəl] ɑ. 특별한무시거 ‘특별’허영 ‘특별’인고(무엇이 ‘특별’해서 ‘특별’인가)special의 어원(origin)인 라틴어 specialis는 “개별적(=individual)” 혹은 “독특한(=particular)”을 뜻하였다. 우리말 ‘특별한’의 사전적 의미는 “보통과는 다르게 구별되는”이지만, 영어의 special은 12세기에 “특유의 특별함을 지니는(=specific)”이란 뜻으로 쓰이다가 13세기에는 “어떤 뛰어난 자질로 인해 특별한(=excellent)”이란 뜻으로도 쓰이게 된다. 전자가 “독특한
spirit [spírit] n. 영혼(靈魂)영끌, 영털 그 담엔 무신건고?(영끌, 영털 그 다음에는 무엇일까?)spirit에서의 spir는 “숨을 쉬다(=breathe)”라는 뜻이다. 이 spir이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respire “호흡하다”, aspire “열망하다”, inspire “고무(鼓舞)하다” 등이 있다. spirit의 어원적 의미는 “숨을 쉬는 존재로서의 영혼”이다. 이러한 영혼이 만들어지는 장면을 성경의 창세기(Genesis)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야훼 하느님께서 땅(the earth)
side [said] n. 면(面)double-sided a. 양면(兩面)을 갖는사름, 영헌가 허믄 또시 졍헌(사람, 이런가 하면 또 저런)side는 원래 사람의 “옆구리(=flank)”나 사물의 “긴 부분(=the long part or aspect of anything)”을 뜻하는 말로, 처음에는 mountainside “산 중턱”, hillside “언덕의 중턱”, roadside “길가” 등에서처럼 “옆면”이나 “측면”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그러다가 side dish “반찬”, side effect “부작용”, side d
revise [riváiz] v. 고치다, 개정하다 잘못허믄 고쪄삽주(잘못하면 고쳐야 한다)revise는 re- “다시(=again)”와 vis “보다(=to see)”의 결합이다. 이 vis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vision “시각”, visit “방문하다”, devise “궁리하다”, advise “충고하다” 등이 있다. revise의 어원적 의미는 “다시 보다”이다. 자신의 행위를 다시 한번 되돌아봄으로써 잘못된 부분(errors)을 찾아 고치거나, 생각을 바꾸거나(change one’s mind), 좀 더 나
vacation [veikéiʃən] n. 휴가worcation [wǝːrkéiʃən] n. 워케이션일과 휴식을 고찌허는 워케이션(일과 휴식을 같이하는 워케이션)vacation에서의 vac는 “비어 있는(=be empty)”이란 뜻이다. 이 vac에서 나온 낱말로는 vacant “빈”, vacancy “공백”, vacuum “진공”, evacuate “비우다” 등이 있다. vacation이 “일반적인 휴가나 휴가 여행”을 뜻한다면, worcation은 work “일”과 vacation “휴가”의 합성 신조어(newly-coined
average [ǽvəridʒ] n. 평균(平均)평균이 엇어진다?(평균이 없어진다?)average의 어원(origin)은 스페인어 averia나 아라비아어 awariya 등으로 추정되지만 확실치는 않다. 원래 이 average는, 과거 해상무역(maritime trade)에서 제품운송을 하다가 발생하는 “배에 대한 손상(damage to ship)”이나 “제품에 대한 손상(damage to goods)”을 뜻하는 말이었다. 그때부터 그런 손상들이 발생하면 제품소유주들이 그 비용을 평균적으로(to their average) 분담하는
shame [ʃeim] n. 수치심수치심 멩그는 사회(수치심 만드는 사회)shame의 어원(origin)은 확실치 않지만, 대체로 인도유럽어의 어근(root) skem- "가리다(to cover)"에서 온 것이라 본다. 이 shame에서 파생(derivation)된 낱말로는 shameless “부끄러움을 모르는”, shameful “부끄러운”, ashamed “부끄러워 …할 마음이 나지 않는” 등이 있다. shame의 어원적 의미가 “가리다”라는 사실에는 여러 가지 함의(implications)가 있다. 거기에는 수치심이 인간의 보
apology [ǝpάlǝdʒi] n. 사과(謝過), 변명(辨明)‘사과’는 ‘사과’ 다와사 헙주(‘사과’는 ‘사과’ 다워야 한다)apology는 apo- “떨어져서(=away from, off)”와 –logy “말(=speech)”의 결합이다. 이 –logy라는 그리스어(Greek) 어근에서 나온 낱말로는 logic “논리”, dialogue “대화”, prologue “머리말”, analogy “유추(類推)” 등이 있다. apology의 어원적 의미는 “(시간적으로 얼마간) 떨어져서 하는 말”이다. 자신이 했던 말에 대해서 시간적
position [pǝzíʃən] n. (있어야 할) 자리, 제자리제자리에 이서사 아름답주(제자리에 있어야 아름답다)position에서의 pose는 “어떤 자세나 태도를 취하다”를 뜻한다. 이 pose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expose “드러내다”, propose “제의하다”, repose “휴식하다”, suppose “가정하다” 등이 있다. position은 일반적으로 “(처해 있는) 위치나 장소, 처지나 입장”을 뜻한다. 또한 ‘He has a position in a bank.(그는 은행에 근무한다.)’에서처럼
kickboard [kikbɔːrd] n. 킥보드 전동킥보드, 이추륵 내불 건가?(전동킥보드, 이렇게 놔둘 것인가?)kickboard에서의 board는 “널판(=piece of timber flat and thin)”을 뜻한다. 그 뜻이 넓게 쓰이면서 room and board(=숙식)에서처럼 “식탁/식사”의 뜻으로 쓰이게 되고, “(회의용) 탁자”의 뜻으로 쓰이면서 board of directors(=이사회)에서처럼 “회의”를 뜻하는 말로도 쓰이게 된다. 또한 교통수단(means of transportation)인 배나 차의 안바
sacrifice [sǽkrǝfàisǝr] n. 희생(물)victim [víktim] n. 희생(자), 피해자하간일에 콤콤허지 못헌 탓(매사에 꼼꼼하지 못한 탓)sacrifice는 sacred “신성한(=holy)”과 fic “만들다(=to make)”의 결합이다. 라틴어 facere의 한 형태인 이 fic에서 나온 낱말로는 fiction “소설”, efficient “능률적인”, deficient “결함이 있는” 등이 있다. sacrifice의 어원적 의미는 “(신에게 올리는 제사의 제물로) 신성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한자어(C
responsible [rispάnsǝbəl/-spɔ́n-] ɑ. 책임을 지는말과 책임은 호납주(말과 책임은 하나이다)responsible은 접두사 re- “되(=back)”와 spon(d) “--하기로 하다(=to pledge)”의 결합이다. 이 spon(d)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respond “반응(反應)하다”, response “응답(應答)”, spontaneous “자발적인” 등이 있다. responsible의 어원적 의미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서 “되반응을 보이는”이다. 그리고 동물의 행위에서와는 달리 인간
(140) advise [ǝdváiz] v. …에게 충고하다 충고(忠告), ‘말곧다’가 아니라 ‘베리다’?충고(忠告), ‘말하다’가 아니라 ‘보다’?advise에서의 vis는 “보다(=to see)”를 뜻한다. 이 vis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vision “시각”, visit “방문하다”, revise “교정하다”, supervise “감독하다” 등이 있다. 충고(忠告)는 ‘남의 결함(fault)이나 잘못(mistake)을 진심으로 타이르는 것’으로서의 “말하다”를 뜻하지만, 영어의 advise에 담긴 어원적 의미는
alone [eiljǝnéiʃən] a. 홀로/혼자서 지금 이녁 저끗띠 누게 셔?(지금 당신 곁에는 누구 있는가?)alone은 all ‘완전히(=wholly)’와 one ‘하나’의 결합이다. 이 alone에 단축(shortening)이 일어나 lone ‘혼자의’가 만들어지고, 거기서 lonely ‘외로운’, lonesome ‘쓸쓸한’ 등이 파생(derivation)되었다, 그밖에 alone과 함께 자주 등장하는 표현으로는 go-it-alone ‘자립한’, stand-alone ‘독립형의’ 등이 있다. alone의 어원적 의미는 ‘완
contemporary [kǝntémpərǝri] ɑ.① (…과) 동시대의 ② (우리와 동시대의) 현대의, 당대의고튼 시대, 또난 세대(같은 시대, 다른 세대)contemporary는 con- “같이(=with, together)”와 temp “시간(=time)”의 결합이다. 이 temp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tempo “박자/속도”, temporal “시간의/일시적인”, temporary “임시의” 등이 있다. 이 contemporary는 17세기경부터 ‘Byron was contemporary with Words
talent [tǽlǝnt] n. (타고난) 재주, 재능끗어내엉 써사 달란틉주(꺼내어 써야 달란트다)talent의 인도유럽어족 어원(origin)인 tele-는 “무게가 나가다(=to weigh)”라는 뜻이었다. 라틴어 ‘탈렌툼’(talentum)을 거치면서 달란트는 무게(weight)의 최대 단위(maximum unit)를 이르는 말로 쓰였는데, 시대와 나라마다(across all the ages and countries) 조금씩 가치(price)가 달랐다.특히, 성경(the Bible)에서는 달란트가 통화의 단위(currency
conscription [kǝnskrípʃən] n. 징집(徵集)이듸 일름 적읍서(여기 이름을 적으세요)conscription은 con- “함께”와 scribe “쓰다(=to write)”의 결합이다. 이 scribe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scribble “낙서하다”, describe “기술하다”, manuscript “원고” 등이 있다. conscription의 어원적 의미는 “함께 서명하다” 정도로 볼 수 있다. 군대를 유지할 목적으로 병역(military service)을 강제적으로(by force) 수행하게
nudge [nʌdʒ] v. 팔꿈치로 살짝 찌르다솔짜기 개입허다(살짝 개입하다)nudge의 어원은 스칸디나비아語(Scandinavian)의 nugge/nyggje “문지르다(=to rub)”이다. 영어로 차용(borrowing)되어 1670년경부터 “(주의를 끌기 위해) 팔꿈치로 살짝 찌르다(=to push slightly with the elbow)”라는 뜻으로 쓰였고, 19세기경부터는 “슬쩍 건드리면서(by a covert touch) 힌트나 신호를 주다(=give a hint or signal to)”라는 비유적(figurat
fund [fʌnd] n. 자금, 기금, 기본금fundamental [fʌnd̀ ǝméntl] ɑ. 기본적인, 중요한, 필수의돈에 데혼 태도 바꽈사(돈에 대한 태도를 바꿔야)fund, fundamental에서의 fund/found는 “바닥(=bottom)”을 뜻한다. 이 fund/found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fundamentalism “근본주의”, found “-- 의 기초를 세우다”, foundation “(기금에 의한) 설립”, profound “심원한” 등이 있다fundamental이 fund에서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