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cle [pάːrtikl] n. 미립자/극히 작은 조각족은 것이 아름답다(작은 것이 아름답다)particle은 part ‘부분’과 –c(u)le ‘작은’의 결합이다. 이 –c(u)le이라는 접미사(suffix)가 붙는 낱말로는 article ‘한 품목’, knuckle ‘손가락 마디’, molecule ‘분자(分子)’ 등이 있다. particle의 어원적 의미는 ‘전체의 부분을 이루는 아주 작은 조각(a bit or fragment, small part or division of a whole)’이다. 또한 미립자(微粒
ar·ti·fi·cial [ὰːrtǝfíʃəl] ɑ. 인위적인‘대권’이란 말부터 엇어져사‘대권’이란 말부터 없어져야 artificial은 art-“기술(=skill)”과 fic-“만들다(=make)”의 결합이다. 이렇게 합성된 낱말로는 artifice “교묘한 솜씨”, artificer “숙련공(熟練工)”, artefact “인공물(人工物)” 등이 있다. artificial의 어원적 의미는 “사람의 기술로 만들어진”이다. 흔히 natural “자연적인/인공에 의하지 않은”의 반의어(反意語)로 쓰인다. 우리말에서는 특히 ‘인위적(=a
im·par·ti·al·i·ty [impὰːrʃiǽlǝti] n.공정(公正) 또시 튼내어보는 공정의 공정함다시 떠올려보는 공정의 공정함impartiality는 in(m)- “아닌(=not)”과 part “부분”의 결합이다. 이 part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party “(사교) 모임”, participate “참가하다”, department “부문” 등이 있다. impartiality의 어원적 의미는 “어느 부분으로도 치우치지 않음”이다. ‘공정’은 보통 “공평하고 올바름”을 뜻하지만, 영어의 impartiality에서
dis·gust [disgʌ́st] n. 혐오(嫌惡)지네 입맛에 맞지 아녀덴 편식허는 사회 자기들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편식하는 사회disgust는 "opposite of(=반대의)"의 뜻인 dis-와 "taste(=맛)"의 뜻인 gust의 결합으로, 그 어원적 의미는 “입맛에 맞지 않는”이다. ‘혐오’의 일상적(ordinary) 의미는 무언가를 싫어하고 미워한다는 뜻이지만, 오늘날 차별(discrimination)의 문제로 제기되는 혐오는 소수자(minority) 또는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인식(negative recognit
(78) person [pə́ːrsən] n. 사람 & personality [pə̀ːrsənǽlǝti] n. 개성(個性), 인성(人性)그릇 뒌 사름과 그릇뒌 사름그릇 된 사람과 그릇된 사람personality에서의 person의 어원은 persona(페르조나)로서 그 어원적 의미는 “가면(mask)”이다. 융(1875~1961)에 의하면, 그 가면이란 사회집단이 개체에게 요구하는 도리, 본분, 역할, 사회적 의무이다. ‘나’는 ‘페르조나’를 배우고 여러 가지의 ‘페르조나’를 번갈아 쓰면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
abolish [ǝbɔ́lliʃ] vt. (관례·제도 등을) 폐지〔철폐〕하다여가부 폐지론, 어떵 생각햄수과?(여가부 폐지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abolish는 “off, away from”의 뜻인 ab-와 "to grow"를 뜻하는 라틴 어근(語根) -adolere의 결합이다. 한자어 ‘폐지(廢止)’의 사전적 정의는 “실시하여 오던 제도나 법규, 일 따위를 그만두거나 없앰”이지만, 영어 abolish의 어원적 의미는 “자라지 못하게 하다” 정도가 된다. “(자랄 수 있도록) 자양분을 제공하다”의 뜻인 nourish의 반의어(反意
ven·ti·late [véntǝlèit] vt. (방 등에) 공기를 환기하다보름이 통허도록 해사(바람이 통하도록 해야)ventilate에서의 vent는 ‘바람(=wind)’을 뜻한다. 이 vent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ventilation ‘환기/통풍’, ventilator ‘통풍기’, ventage ‘분출구’ 등이 있다. ventilate의 어원적 의미는 말 그대로 ‘바람을 통하게 하다’이다. 이러한 환기의 중요성이 코로나 변이의 재확산과 더불어 새삼 강조되고 있다. 심지어 미세먼지(fine dust)가 많은 날에도
distortion [distɔ́:rʃən] n. 왜곡(歪曲)올림픽 정신 왜곡허는 도쿄올림픽, 무사 참가허는고?(올림픽 정신 왜곡하는 도쿄올림픽, 왜 참가하는가?)distortion은 dis- ‘완전히(=completely)’와 –tort ‘비틑다(=to twist)’의 결합이다. 이 tort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distort ‘왜곡하다’, torture ‘고문(拷問)’, tortuous ‘비틀린’ 등이 있다. distortion은 말 그대로 ‘완전히 비틀어버리는 것’이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어떤 사실이나 사물을
im·par·tial [impάːrʃəl] ɑ. 편견 없는어느제꺼장 그 궤 소곱에 실 건지(언제까지 그 동굴 안에 있을 것인지)impartial은 부정접두사 in-(=not)과 part ‘부분(部分)’의 결합이다. 이 part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partial ‘부분적인’, partisan ‘당파심이 강한’, department ‘부문’, participate ‘참가하다’ 등이 있다. impartial의 어원적 의미는 ‘어떤 부분으로 치우치지 않은’이다. 어떤 부분으로 치우치는 견해(opinion)를 편견(prejud
uncomfortable [ʌnˈkʌmftəbl] a. 불안한나 거친 생각광 걸 베려보는 불안헌 눈빛?(내 거친 생각과 그걸 바라보는 불안한 눈빛? )uncomfortable은 접두사 un-(=not)과 com- ‘서로에게’가 fort- ‘힘’과 결합된 형태이다. 이 fort-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comfort ‘위로하다’, force ‘힘’, effort ‘노력(勞力)’, enforce ‘시행하다’ 등이 있다. uncomfortable의 어원적 의미는 ‘서로에게 힘이 되지 못하는’이다. 서로에게 힘이 되면 ‘위안(慰
suc·ceed [sǝksíːd] vi. 계승(繼承)하다. 성공(成功)하다이제사 알러레 감인가(이제야 아래로 가는가)succeed는 sub- ‘아래로’와 –ceed/cede ‘가다(=go)’의 결합이다. 이 –ceed/cede를 어근(語根)으로 하는 낱말로는 proceed ‘앞으로 가다’, recede ‘물러나다’ exceed ‘(한도를) 넘어서다’ 등이 있다. succeed의 어원적 의미는 말 그대로 ‘아래로 가다’이다. 원래는 ‘윗세대(older generation)에서 아랫세대(younger generation)로 물려주다’라
fidelity [fidélǝti, fai-] n. 충성(忠誠)/충실(忠實)‘충(忠)’을 튼내며(‘충(忠)’을 떠올리며)fidelity에서의 fi(d)-는 ‘믿음’을 뜻한다. 이 fi(d)-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confide ‘(비밀 따위를) 털어놓다’, confident ‘확신이 있는’, confidential ‘속사정을 터놓을 수 있는’ 등이 있다. fidelity의 어원적 의미는 말 그대로 ‘믿음’이다. 그런 ‘믿음’을 밑바탕(foundation)으로 하여 나오는 게 ‘충성(忠誠)’이고 ‘충실(忠實)’이라는 것이
diversity [divə́ːrsǝti, dai-] n. 다양성(多樣性)‘다양성’을 튼내며(‘다양성’을 떠올리며)diversity는 di- “--에서 떨어져(=aside)”와 vers- “돌다(=to turn)”의 결합이다. 이 vers-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version “-판(版)”, conversion “전환(轉換)”, universe “우주(宇宙)” 등이 있다. diversity의 어원적 의미는 “--에서 떨어져 따로 돌다”이다. 우리가 경험(experience)하는 세상이 하나의 세상인 줄만 알았는데, 알고
fiance/fiancee [fìːaːnséi, fiάːnsei] n. 약혼자/약혼녀두갓 날에 부쳐(부부의 날에 부쳐)fiance/fiancee에서의 fi-는 “믿음/신뢰(=trust)”의 뜻을 갖는다. 이 fi(d)-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낱말로는 confident “확신(確信)하는”, diffident “자신 없는”, fidelity “충실성(忠實性)” 등이 있다. fiance/fiancee의 어원적 의미는 “믿음을 약속한 사람”인데, 여기서의 믿음은 무조건적인(unconditional) 것이다. 이성적으로(rationall
advise [ədˈvaɪz] v. 충고하다홈불로 충고(忠告) 허는 사회?(함부로 충고(忠告) 하는 사회?)advise에서의 어근(語根) vis-는 “보다(=to view)”의 뜻을 갖는다. 이 vis-에서 나온 낱말로는 visit “방문(訪問)하다”, visual “시각(視覺)의”, supervise “감독(監督)하다” 등이 있다. ‘충고(忠告)’의 사전적 의미는 “남에게 잘못을 고치거나 앞으로 어떻게 하라고 진심으로 좋게 타이르거나 일러 주는 것”이지만, advise의 어원적 의미는 “타이르거나 일러주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mir·a·cle [mírǝkəl] n. 기적(奇蹟)기적은 느량 저끗디?(기적은 늘 곁에?)miracle은 mira- “경이롭다(=wonder)”와 –cle “작은”의 결합이다. 이 mira-라는 어근(root)에서 나온 낱말로는 admire “--에 감탄하다”, mirage “신기루” 등이 있으며, 접미사(suffix) -cle에서 나온 낱말로는 particle “분자(分子)”, article “한 품목”, knuckle “손가락 관절(마디)” 등이 있다.miracle의 어원적 의미는 말 그대로 “작은 경이(驚異)로움”이다. ‘기
fa·mous [féimǝs] ɑ. 유명한‘유명세(有名稅)’를 튼내며(‘유명세(有名稅)’를 떠올리며)famous의 fa(m)은 ‘말하다(=to say)’를 뜻한다. 이 fa(m)에서 나온 낱말로는 fable ‘우화(寓話)’, preface ‘서언(序言)’, defamation ‘명예훼손(名譽毁損)’ 등이 있다. famous의 어원적 의미는 말 그대로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이다. ‘유명(有名)’이란 개념이, 동양 문화권에서는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는 것’으로서 선망(羨望)의 대상(object of envy)이 되지만, 영
di·gest [didʒést, dai-] vt. 소화(消化)하다졸속(拙速), 이제 설러불어사(졸속(拙速), 이제 그만두어야)digest는 dis- ‘분리하여(=apart)’와 –gest ‘나르다(=carry)’의 결합이다. 이 –gest에서 나온 낱말로는 congest ‘혼잡하게 하다’, suggest ‘제안하다’ 등이 있다. 접두사 dis-의 여기서의 의미는 ‘분리하여(=apart)’인데,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따로따로’, ‘서로 충분한 시간을(거리를) 두고’ 정도가 된다. 소화(digestion)란 ‘섭취한 음식물을 분해(de
en·joy [endʒɔ́i] v. 즐기다기쁨을 멩근다는 것(기쁨을 만든다는 것)enjoy는 en- ‘만들다(=to make)’와 joy ‘기쁨’의 결합이다. 이 joy에서 나온 낱말로는 enjoyment ‘기쁨’, joyful ‘기쁜’, rejoice ‘기뻐하다’ 등이 있다. enjoy의 어원적 의미는 말 그대로 ‘기쁨을 만들다’이다. 기쁨이나 즐거움은 대개 수동적으로(passively) 맞이하게 되는 것이지만, 그와는 반대로 능동적으로(actively) 만들어가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부각(salience)하고 있다.군에서 제대
sym·pa·thy [símpǝθi] n. 〖심리학〗 공감(共感)공감, 갑제기 뒈는 게 아니우다(공감, 갑자기 되는 게 아니다)sympathy는 sym- ‘유사한’와 –pathy ‘감정(感情)’의 결합이다. 이 –pathy에서 나온 낱말로는 antipathy ‘반감(反感)’, empathy ‘감정이입(感情移入)’, telepathy ‘텔레파시’ 등이 있다. 공감은 흔히 머리로 이해하는 인지적(cognitive) 공감과 가슴으로 느끼는 감정적(emotional) 공감으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남의 감정, 의견, 주장 따위에 대하여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