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부터 4월 3일까지 제주도 문예회관은 제주4.3을 알리는 다양한 예술로 가득 채워진다. 바로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준비한 ‘2018 4.3 70주년 기념 문화예술대전’이다. 해마다 4.3을 알리고 기억하기 위한 많은 고민과 노력이 있지만, 올해는 70주년이란 중요한 의미에 맞게 보다 각별한 준비가 더해졌다. 는 4.3 문화예술대전 주요 행사를 다섯 번에 걸쳐 소개한다. [편집자 주] [70주년 4.3 문화예술대전] (2) 4.3 70주년 기념 전야제 ‘기억 속에 피는 평화’ 제주4.3 전야...
3월 31일부터 4월 3일까지 제주도 문예회관은 제주4.3을 알리는 다양한 예술로 가득 채워진다. 바로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준비한 ‘2018 4.3 70주년 기념 문화예술대전’이다. 평소 4.3때 마다 이어온 예술행사보다 많은 고민, 노력이 더해져 풍성한 내용으로 준비했다. 는 4.3 문화예술대전 주요 내용을 다섯 번에 걸쳐 소개한다. [편집자 주] [70주년 4.3 문화예술대전] (1) 제25회 4.3 문화예술축전 1994년 제주민예총 창립과 함께 시작한 4.3문화예술축전(옛 4.3예술제)은 제주...
제주4.3이 올해로 70주년을 맞는다. 70이란 숫자에는 생존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흡사 마지노선의 감정이 스며있다. 사람은 언젠가 모두 떠나가지만 예술은 세대가 이어지는 한 영원하다. 제노사이드의 역사였던 4.3에 대한 진상규명과 기억의 복원에 집중된 ‘기억투쟁’에 있어서 예술이 중요한 이유다. 는 창간 14주년과 4.3 70주년을 맞아 주목할 만 한 4.3 미술행사를 로 엮어 소개한다. [편집자 글] [4.3 70 특집-4.3과 미술] (4) 우웨이산 조각품 ...
제주4.3이 올해로 70주년을 맞는다. 70이란 숫자에는 생존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흡사 마지노선의 감정이 스며있다. 사람은 언젠가 모두 떠나가지만 예술은 세대가 이어지는 한 영원하다. 제노사이드의 역사였던 4.3에 대한 진상규명과 기억의 복원에 집중된 ‘기억투쟁’에 있어서 예술이 중요한 이유다. 는 창간 14주년과 4.3 70주년을 맞아 주목할 만 한 4.3 미술행사를 로 엮어 소개한다. [편집자 글] [4.3 70 특집-4.3과 미술] (2) 탐라미술인협회 ...
제주4.3이 올해로 70주년을 맞는다. 70이란 숫자에는 생존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흡사 마지노선의 감정이 스며있다. 사람은 언젠가 모두 떠나가지만 예술은 세대가 이어지는 한 영원하다. 제노사이드의 역사였던 4.3에 대한 진상규명과 기억의 복원에 집중된 ‘기억투쟁’에 있어서 예술이 중요한 이유다. 는 창간 14주년과 4.3 70주년을 맞아 주목할 만 한 4.3 미술행사를 로 엮어 소개한다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은 최근 관광, 역사, 사회학계 모두에서 주목받는 개념이다. 과거 국가 권력이 저지른 폭력의 기억, 현장을 돌이켜보면서 오늘 날 반성과 깨달음을 얻는다. 제주의 경우 4.3을 비롯해 일제강점기 진지동굴, 알뜨르비행장 등 다크투어리즘으로 활용할 다양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진주만 공습이 벌어진 하와이 사례를 소개하면서 제주도 다크투어리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세 차례에 걸쳐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하와이와 제주, 그리고 다크투어리즘] ③ 日·대만 연계...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은 최근 관광, 역사, 사회학계 모두에서 주목받는 개념이다. 과거 국가 권력이 저지른 폭력의 기억, 현장을 돌이켜보면서 오늘 날 반성과 깨달음을 얻는다. 제주의 경우 4.3을 비롯해 일제강점기 진지동굴, 알뜨르비행장 등 다크투어리즘을 활용할 다양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는 진주만 공습의 장소였던 하와이 사례를 소개하면서 제주도 다크투어리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세 차례에 걸쳐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하와이와 제주, 그리고 다크투어리즘] ② 침몰 전함 위에 세워진 기념관, 생...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은 최근 관광, 역사, 사회학계 모두에서 주목받는 개념이다. 과거 권력과 특정 집단이 저지른 폭력의 기억, 현장을 돌이켜보면서 오늘 날 반성과 깨달음을 얻는다. 제주의 경우 4.3을 비롯해 일제강점기 진지동굴, 알뜨르비행장 등 다크투어리즘을 활용할 다양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는 진주만 공습의 장소였던 하와이 사례를 소개하면서 제주도 다크투어리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세 차례에 걸쳐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하와이와 제주, 다크투어리즘] 1. 무력으로 점령한 하와이, 이제는 ...
[4.3 70주년 D-1년] (12) 5.18 기념재단과 상반된 4.3평화재단...초심 되새겨야 내년이면 제주4.3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된다. 1948년 미군정 하의 제주도에서 일어난 4.3참극은 3만 명에 가까운 인명이 희생된 사건이다. 세계사에서 전쟁 지역이 아닌 좁은 공간에서 이처럼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건은 없었다. 2003년 10월15일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가 채택되고, 대통령이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면서 4.3문제는 전기를 맞게 된다. 그럼에도 아직 갈 길이 멀다. 해결해야 ...
[4.3 70주년 D-1년] (11) 평화재단 중점 사업 추가진상조사 "직무유기" 비판 내년이면 제주4.3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된다. 1948년 미군정 하의 제주도에서 일어난 4.3참극은 3만 명에 가까운 인명이 희생된 사건이다. 세계사에서 전쟁 지역이 아닌 좁은 공간에서 이처럼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건은 없었다. 2003년 10월15일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가 채택되고, 대통령이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면서 4.3문제는 전기를 맞게 된다. 그럼에도 아직 갈 길이 멀다. 해결해야 할 과제도...
[4.3 70주년 D-1년](10)4.3사업 컨트롤타워 못하는 재단...존재감 '상실 위기' 내년이면 제주4.3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된다. 1948년 미군정 하의 제주도에서 일어난 4.3참극은 3만 명에 가까운 인명이 희생된 사건이다. 세계사에서 전쟁 지역이 아닌 좁은 공간에서 이처럼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건은 없었다. 2003년 10월15일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가 채택되고, 대통령이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면서 4.3문제는 전기를 맞게 된다. 그럼에도 아직 갈 길이 멀다. 해결해야 할 ...
제주도의회 의원 선거가 8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도나 결과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보수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고, 의원정수 확대 및 선거구 조정 문제 등 변수는 널려있다. 가 추석명절을 앞두고 각 정당과 현역의원 등으로부터 교차 확인한 결과, 출마 예상자는 29개 선거구에 110명 정도 자천타천으로 거론되고 있다. 평균경쟁률이 ‘3.83 대 1’이나 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안정적인 체제 하에서 경선을 치르는 등 선거전을 준비할 것으로 ...
[지방선거 D-250일] ③도의원 선거(제주시), 19개 선거구 70명 자천타천 물망 전국 17개 시·도 단체장을 비롯해 ‘풀뿌리’ 지방권력을 선출하는 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내년 6월13일 치러진다. 제주에서도 여론 향배의 1차 가늠자가 될 추석민심을 잡기 위한 ‘풀뿌리 일꾼’들의 물밑 선거전이 가열되고 있다. 가 추석 밥상머리에 올릴 선거이야기를 7회에 걸쳐 보도한다. [편집자 주] 1. 제주도지사 선거 누가 뛰나? 2. 제주도지사 선거 관전 포인트는? 3. 제주도의원 선거(제주시) 누가 뛰...
[지방선거 D-250일] ②관전 포인트, 원 지사 대항마? 보수통합? 선거구도는? 전국 17개 시·도 단체장을 비롯해 ‘풀뿌리’ 지방권력을 선출하는 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내년 6월13일 개최된다. 제주에서도 여론 향배의 1차 가늠자가 될 추석민심을 잡기 위한 ‘풀뿌리 일꾼’들의 물밑 선거전이 가열되고 있다. 가 추석 밥상머리에 올릴 선거이야기를 7회에 걸쳐 보도한다. [편집자 주] 1. 제주도지사 선거 누가 뛰나?2. 제주도지사 선거 관전 포인트는?3. 제주도의원 선거(제주시) 누가 뛰나?4. ...
[지방선거 D-250일] ①도지사선거, 자천타천 14명 ‘창과 방패’ 싸움 예고 전국 17개 시·도 단체장을 비롯해 ‘풀뿌리’ 지방권력을 선출하는 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내년 6월13일 개최된다. 제주에서도 여론 향배의 1차 가늠자가 될 추석민심을 잡기 위한 ‘풀뿌리 일꾼’들의 물밑 선거전이 가열되고 있다. 가 추석 밥상머리에 올릴 선거이야기를 7회에 걸쳐 보도한다. [편집자 주] 1. 제주도지사 선거 누가 뛰나? 2. 제주도지사 선거 관전 포인트는 3. 제주도의원 선거(제주시) 누가 뛰나? 4...
올레. 한동안 쓰이지 않던 이 제주어가 지금은 제주를 대표하는 단어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9월 7일로 제주올레가 세상에 나온 지 10년이 됐다. 제주가 좋아, 걷는 게 좋아 몇몇이 뜻 모아 시작한 제주올레는 어느새 일본 숲속과 몽골 벌판에 마스코트 ‘간세’를 새길 정도로 명성이 높아졌다. 제주 관광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혁신적인 평가 뒤에는 지역주민 소득과의 연계 미흡 등 과제도 공존한다. 가 제주올레 10주년을 맞아 올레의 과거, 현재, 미래를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제주올레 10년] ④ 서명...
올레. 한동안 쓰이지 않던 이 제주어가 지금은 제주를 대표하는 단어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9월 7일로 제주올레가 세상에 나온 지 10년이 됐다. 제주가 좋아, 걷는 게 좋아 몇몇이 뜻 모아 시작한 제주올레는 어느새 일본 숲속과 몽골 벌판에 마스코트 ‘간세’를 새길 정도로 명성이 높아졌다. 제주 관광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혁신적인 평가 뒤에는 지역주민 소득과의 연계 미흡 등 과제도 공존한다. 가 제주올레 10주년을 맞아 올레의 과거, 현재, 미래를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제주올레 10년] ③ 여전...
올레. 한동안 쓰이지 않던 이 제주어가 지금은 제주를 대표하는 단어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9월 7일로 제주올레가 세상에 나온 지 10년이 됐다. 제주가 좋아, 걷는 게 좋아 몇몇이 뜻 모아 시작한 제주올레는 어느새 일본 숲속과 몽골 벌판에 마스코트 ‘간세’를 새길 정도로 명성이 높아졌다. 제주 관광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혁신적인 평가 뒤에는 지역주민 소득과의 연계 미흡 등 과제도 공존한다. 가 제주올레 10주년을 맞아 올레의 과거, 현재, 미래를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제주올레 10년] ② 자본...
편집자 주 [제주올레 10년, 제주를 바꾸다] ① 15km 바닷길, 제주 넘어 세계로 2007년 9월 8일 오전 10시, 화창한 하늘 아래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초등학교에는 가벼운 야외 활동 차림을 한 사람들이 모였다. 관광 넘어 제주 문화 전반을 바꾼 '제주올레'가 처음 등장한 날이자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출범한 날이다. 시흥리 바닷가 15km 길로 시작한 제주올레는 그야말로 폭발적인 관심 속에 거침없이 뻗어나간다. 1코스 개장 한 달 만인 10월에 쇠소깍과 제주올레 여행자센터를 잇는 2코스(현재 6코스), 그해 12월엔...
[대중교통 개편 D-8] ② 교통복지 위해 예산 2% 투자 제주도...친절서비스가 성패 30년만에 제주 대중교통체제가 전면 개편된다. 8월26일 전면 시행되는 대중교통체제 개편은 원희룡 지사의 공약사항으로, 민선 6기 3년 동안 야심차게 준비해 왔다. 대중교통체제 개편은 갈수록 늘어나는 자가용 차량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현재 18%대에서 30%대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한마디로 대중교통이 편리해야 자가용 이용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가 시행 10일을 앞두고 3차례에 걸쳐 대중교통체제 개편 준비상...